목록노하우 (85)
블로그.지오닷컴
그누보드로 만든 홈페이지의 특정 게시판에 올려진 파일을 내려 받는 방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여러개의 파일을 내려 받는 가장 좋은 방법은 FTP를 이용하는 것이지요. 아래 영상은 그누보드의 album 게시판에 첨부파일로 올려진 사진 파일을 FTP로 내려받는 것을 시연한 영상 입니다. 사용한 FTP 프로그램은 UTF-8을 지원하는 FTP 프로그램인 FileZilla를 사용하였습니다. 혹시 utf-8을 지원하지 않아 다국어를 표현하지 못하는 알FTP를 사용하신다면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파일질라(FileZilla) 내려받기 : http://filezilla-project.org/download.php?type=client FTP를 이용해 그누보드에 첨부한 사진 파일을 내려받는 시연 영상 다음에..
XE는 레이아웃 html이나 외부 페이지를 화면에 보여주기 전에 위젯, 애드온 등 특정 코드는 해석한 뒤 화면에 뿌려줍니다. 아래 XE 위젯 코드는 로그인 정보를 뿌려주는 짧은 코드로 아래 코드만 레이아웃 html이나 외부 페이지에 넣어주면 해석된 정보를 화면에 뿌릴 수 있습니다. XE의 로그인 정보 보여주는 레이아웃 코드 저는 특정 위젯을 개발하거나 테스트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합니다. 이만, 코딩하러 고고싱!
중앙에 정렬되는 홈페이지를 만들다보면 창 크기에 따라 절대위치로 박아놓은 레이어가 마구 움직이는 것을 경험하셨을 겁니다. 창의 크기에 상관없이 중앙에 정렬되는 홈페이지의 위치에 맞추어 레이어도 따라 움직이는 자바스크립트 소스를 소개해 드립니다. 페이지의 와 사이에 삽입할 레이어 소스 샘플 페이지의 안에 넣어야 할 소스 샘플 소스는 크게 3 부분 인데요, 레이어 소스 부분과 레이어 위치를 재정렬 하는 자바스크립트 소스, 그리고 페이지가 로드될 때, 창 크기가 바뀔 때, 스크롤 할 때 마다 레이어 위치를 재정렬하는 자바스크립트를 계속 실행하도록 테그 안에 넣는 부분 입니다. 만약, 레이어가 정렬되는 위치가 별로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centerWindow() 소스의 숫자 부분을 변형해 보시면 조금씩 답을 얻..
일전에 화면 사이즈에 따라 이동하는 경로를 다르게하는 소스를 소개해 드린 바 있습니다. 해당 소스의 문제점은 특정 화면 사이즈가 안 되는 화면일 경우에는 모바일 브라우저가 아니더라도 모바일 사이트로 이동되는 버그가 있었습니다. 대표적으로 넷북이 되겠지요. 하여, 접속하는 사용자의 브라우저 종류에 따라 접속 경로를 재지정하는 소스를 소개해 드립니다.
국산CMS 툴 중에 XE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레이아웃을 웹에서 바로 편집할 수 있는데 늘 특정 함수가 어떻게 뿌려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print_r() 함수를 사용하곤 합니다. 혹시 XE 레이아웃 수정하실 때 변수 내용 확인하실 일이 생기면 아래 코드를 사용해보세요. 참, 아래 코드는 XE 메뉴에서 구성한 메뉴 배열 변수를 그대로 다 뿌려주는 명령어 입니다. {@print_r($main_menu)} 이만, 총총총!
최근 웹프로그램도 객체지향 형태로 코딩을 하니까 DB 설계도 객체 느낌을 살려서 코딩을 하는 것 같더라구요. 덕분에 유지보수를 하게 되면 종종 여러 테이블의 데이터를 동시에 불어와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간단한 MySQL 쿼리문으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SELECT a.uid, a.bid, a.id, a.subject, b.savename FROM `m12board` a left outer join `m13file` b on a.uid = b.id WHERE a.`bid` = 6 ORDER BY a.`id` DESC LIMIT 0 , 10 위의 쿼리문은 MySQL에서 게시판 데이터가 있는 m12board 와 첨부한 파일 데이터가 있는 m13file 테이블에서 한번에 데이터를 불러오는 쿼리문 입니다. 쿼..
일반 웹사이트와 모바일 사이트를 동시에 개발하면 같은 도메인으로 접속해도 각각 PC버전과 모바일 버전으로 접속하도록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 저도 최근에 웹사이트를 개발하며 해당 코드를 간단하게 자바스크립트로 짜게 되어서 여기에 공유를 합니다. 위의 소스를 보면 화면 사이즈가 1030픽셀 이하면 /m 이라는 주소로, 그 이상이면 /home 이라는 주소로 이동하도록 코딩하였습니다. 제가 만든 PC버전 웹사이트의 폭이 1030픽셀이라서 화면 폭이 그 이상이면 굳이 모바일로 접속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서 기준을 이렇게 잡았습니다. 접속하는 웹브라우저의 종류를 판단해서 모바일로 사이트로 접속하도록 유도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겠지만 풀브라우징이 가능한 환경에서 굳이 모바일 사이트로 접속할 필요는 없다는게 제 생각입..
보통 도메인은 홈페이지에 연결할 주소로 쓰기 위해 구입합니만, 도메인을 구입하고 홈페이지에만 연결해 사용하는 것은 조금 아쉬울 수 있습니다. 네이버나 다음에서 @naver.com 이나 @hanmail.net 으로 끝나는 메일 주소를 제공하는 것처럼, 소유한 도메인으로 끝나는 메일 주소를 가질 수도 있고, http://mail.naver.com 처럼 도메인 앞에 mail 을 붙여서 2차 주소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도메인 하나로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것 외에 메일이나 2차 주소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네임서버라는 것이 있어야 합니다. 도메인을 구입하면 도메인의 등록정보에 네임서버를 입력하는 란이 있습니다. 도메인을 등록하면 그 도메인에 관한 설정은 모두 네임서버에서 관리합니다. 예를 들어, 지오닷컴에 접..
블로거 777명과 함께하는 윈도우7 런칭 파티에 다녀온지 몇일이 지났습니다. 런칭 파티를 다녀와서 바로 담은 사진 부터 공개하겠습니다! 선물을 담은 종이가방과 명찰, 윈도우7이 들어있는 특별판, 내용, 기념품 입니다. 저는 32bit 버전이라 바로 노트북에 설치했습니다. 참, 여러분의 아이디어로 만들었다는데, 그럼 수익배분은 5:5 ok? 설치 후 처음 겪은 것은 네트워크 설정의 난해함 보다 언어의 장벽 이었습니다. ultimate 버전은 영문으로만 제공되며 언어팩을 따로 설치해야 하더라구요. 이때 기본 언어를 한글로 설정하지 않으면 아래와 같이 한글이 깨어지는 증상이 발생합니다. 위와 같은 증상이 발생하면 대부분 기본 언어가 영문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 입니다. 제어판 > 국가 및 언어 > ..
오랜만에 포스팅 합니다. 최근 모바일을 중심으로 웹에서도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 그 중 아이폰의 위력은 대단한데요, 국내 출시가 불투명한 시점에서도 아이폰 출시를 대비한 네이버/다음의 움직임이 재미있습니다. 폐쇄적인 것으로 유명했던 한메일도 드디어 pop3를 지원하기 시작했습니다. 덕분에 지메일이나 모바일을 포함한 각종 이메일 클라이언트에서 한메일을 바로 불러올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여기에 그 방법을 공개합니다. 먼저 한메일의 메일 환경에 로그인 하신 뒤, 환경설정 - POP3/IMAP 설정 메뉴에서 [지금부터 새로 수신되는 메일만 받기] 부분을 선택하신 뒤 저장하기를 클릭하세요. 이어 지메일의 메일 환경에 로그인 하신 뒤, 환경설정 - 계정 탭 - [메일 계정 추가] 를 클릭하신 뒤 필요한 내용을 기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