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노하우 (85)
블로그.지오닷컴
페이스북을 하다보면 친구인 줄 알았다가 알고보니 동명이인 사람이었던 경험, 다들 있으실 겁니다. 이럴 때는 친구 관계를 끊어야 하는데 삭제할 줄 몰라서 어색한 사이를 유지하시더라구요. 짧지만 페이스북 친구 관계를 끊는 방법을 시연하였습니다. 보시고 페이스북 하실 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페이스북 친구 삭제하기 동영상 시연 위의 시연에서는 친구삭제 버튼을 클릭하시는 않았습니다. 여러분은 클릭을 해서 모르는 친구를 과감하게 삭제해 깔끔한 페이스북 담벼락을 유지하셔요. ^_^
XE라는 CMS툴에서 생성한 페이지는 관리자로 로그인하면 웹에서 바로 수정이 가능합니다. 관리자로 로그인 후 해당 페이지 하단의 페이지 수정 버튼만 누르면 간단히 수정할 수 있는 모드로 화면이 바뀌고 몇 번의 클릭 만으로도 페이지를 바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영상은 XE 관리자로 로그인해 빈 페이지에 약도 이미지를 추가하는 작업을 시연한 영상 입니다. 감사합니다. 또 뵙겠습니다. ^_^
같은 한글을 컴퓨터에서 인식하는데는 euc-kr과 utf-8 두가지 방식이 존재합니다. 왜 이렇게 되었는지는 이야기가 길어져서 생략하지만 결론적으로 utf-8이 더 최근의 방식이며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문자 인코딩 방식 입니다. 최근 여러 사이트로 부터 데이터를 수집해서 보여주는 메타 사이트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데이터를 RSS 2.0 기반으로 읽어왔습니다. 해당 RSS 내용을 토대로 데이터를 변환해서 우리 사이트의 DB에 저장을 하는데 UTF-8로 불러온 데이터임에도 불구하고 DB에 넣기만 하면 한글이 이상하게 보여졌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과정을 거치다가 쿼리 안에도 인코딩 기준을 지정해줄 필요가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MySQL이 쿼리를 주고 받을 때의 인코딩을 설정하는 것은 매우 ..
SNS 서비스가 대중화 되면서 트위터는 물론 페이스북까지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저 역시 두 서비스를 같이 사용하다보니 각기 다른 용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트위터는 정보를 확인하고 요즘 트렌드를 따라가는 용도라면, 페이스북은 이미 알고 지내던 분들과 안부를 묻는 용도 입니다. 그런데 저는 트위터를 더 자주 확인하다 보니 요즘 무슨 생각을 한다거나 카페에서 뭘 마신다 같은 소소한 이야기도 트위터에 먼저 남깁니다. 결과적으로는 페이스북은 소홀하다보니, 정작 알고 지내던 분들은 제 일상이 아닌 팜빌이나 시티빌 이야기만 보게 되더라구요. 하여, 제 트윗을 자동으로 페이스북 담벼락에도 올려주는 서비스를 찾아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에게도 유용하길 기대합니다. 제가 오늘 소개하는 페이스북 어플리..
트위터가 국문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기존에 가입하셨던 분들은 메뉴를 국문으로 어떻게 바꾸는지 문의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여 그 방법을 동영상으로 시연하였으니 아래 시연 순서와 영상을 참고하셔서 사용 언어를 변경하시기 바랍니다. 참, 변경하시려면 먼저 트위터에 로그인 되어 있어야겠죠? 동영상 시연 순서 우측 상단의 본인 [아이디] 클릭. [Settings] 클릭. Account 탭의 Language 부분 확인. 현재 설정된 언어를 클릭 후 변경을 원하는 언어로 선택 후 클릭. 하단 [Save] 클릭. 비밀번호(Password) 입력. [Save Changes] 클릭. 변경된 화면 확인. 트위서 사용언어 변경 동영상 시연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
트위터가 국문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그동안 언어의 장벽 때문에 어려워하던 분들이 트위터를 더 많이 입성하실 것으로 보입니다. 트위터는 먼저 시작한 사람이 주위의 사람들에게 추천하는 것으로 유명한 정보 네트워크 서비스 입니다. 저 역시 주위의 분들에게 많이 소개하는데, 항상 가입을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다고 물어왔습니다. 하여 트위터 첫화면에서 영어로 나타나는 분들이 언어를 국문으로 변경하고 회원가입을 시작하는 부분까지 시연해 보았습니다. 이 영상을 통해 많은 분들이 트위터에 가입해서 좋은 이야기들이 흘러갔으면 좋겠습니다. 트위터 언어 변경 및 회원가입 동영상 시연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SugarSync(이하 사탕맞춤)의 File Manager를 이용하면 현재 사용하는 컴퓨터와 사탕맞춤 웹사이트에 올려진 폴더를 서로 동기화 할 수 있습니다. 폴더를 동기화 기능을 활용할 경우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불편함을 줄일 수 있습니다. (상황1) 대학생 영희는 방금 편집한 문서를 인쇄소에서 출력하기 위해 USB에 저장하거나 메일로 보낸다. ▶ 인쇄소에서 사탕맞춤 웹사이트에 접속해 출력할 문서를 다운받아 출력하면 됩니다. (상황2) 직장인 강과장은 집에서 마저 보려고 편집하려던 엑셀 파일을 두고 와서 퇴근하다가 다시 회사로 돌아갑니다. ▶ 자주 편집하는 폴더를 동기화해두면 사탕맞춤과 동기화된 집 컴퓨터의 폴더를 열어 마저 편집하고 저장하면 됩니다. (상황3) 프로젝트 BIG을 진행하는 기획자 이팀장은..
도메인은 정해진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대여하는 방식으로 서비스 됩니다. 한 때는 도메인 자체가 굉장한 브랜드 가치는 가졌지만 최근에는 그 중요성이 조금은 덜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는 .com .net .org .co.kr 외에도 .kr .tv .in .us .info .tel 등 다양한 도메인들이 생기면서 특정 도메인에 대한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기 때문입니다. 아무튼 최근 제가 알고 있는 도메인의 사용기간이 다 되어가서 연장을 해야된다고 소유자 분들에게 알려드렸더니 의외로 도메인 사용기간을 연장하는 것을 어렵게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마침 제가 보유한 도메인도 연장할 일이 있어서 도메인 사용기간을 연장하는 모습을 시연해보았습니다. 저는 도메인클럽이라는 회사에서 도메인을 등록하고..
한국형 CMS툴인 XE 게시판은 HTML 편집기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서 유튜브의 동영상을 정확하게 게시물 본문에 삽입할 수 있습니다. 아래 시연은 크게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했습니다. 동영상을 올릴 게시판에 접속. 게시물 [쓰기] 버튼을 클릭. 동영상 소스가 있는 유튜브에 접속. 동영상 올린 날짜를 기준으로 올릴 동영상 검색. 올린 동영상 제목을 클릭. 동영상 하단의 [소스 코드] 클릭. 원하는 동영상 플레이어 크기 선택 후 소스 복사. 게시물 쓰기 화면에서 본문에 삽입할 공간 생성. 게시물 쓰기 화면 우측의 [HTML 편집기] 클릭. 원하는 곳에 유튜브에서 복사한 동영상 삽입 소스 붙여넣기. 게시물 작성 완료. 결과 확인. XE 게시판에 유튜브 동영상 삽입 시연 다음에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_^